이 자료는 최근 모험가 및 트레커 사이에서 네팔히말라야 트레킹 코스에 관한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히말라야 횡단 트레킹『GHT-Nepal』에 관한 내용입니다. 여기에 수록된 관련 자료는 세계 유명 모험 및 등산, 트레킹 전문회사의 웹사이트 등에서 발췌한 자료와 『GHT 코스 개념도』를 이용하여 필자가 개략적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GHT-Nepal 트레킹 계획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러나 코스와 일정을 실제 적용할 경우에는 보다 세부적인 자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지도는 GHT 전용으로 발행되는 축적 1:100,000~1:150,000 정도의 지형도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
GHT-Great Himalaya Trail 히말라야 횡단 트레킹
<< GHT-Nepal Trail 개요도 >>
히말라야 횡단트레킹(GHT)이란?
GHT는 『Great Himalaya Trail』의 약자로서 히말라야산맥 횡단 이란 의미이고 "Full Traverse"라고도 한다. 히말라야 산맥의 트레일을 동에서 서로 또는 서에서 동으로 횡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히말라야 산맥에서 제일 동쪽에 위치한 부탄 히말라야는 450km 34일, 시킴 히말라야(인도 북동부)는 185km 19일, 네팔 히말라야는 1,700km 160일, 인도 북서부 아루나찰 프라데쉬는 1,550km 110일, 파키스탄은 250km 20일의 일정이다. 여기에 중국 쪽도 포함된다.
그 중 네팔히말라야 구간은 1990년도 후반부터 계획되기 시작하여 2011년에 완주를 하였다. 2012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상업적인 트레킹을 홍보하고 모집하여, 트레킹을 시행하고 있다. GHT-Nepal은 네팔 히말라야 산맥의 남쪽 기슭을 동에서 서로 잇는 길이 약 1,700km의 트랙으로서 약 160일 정도가 소요되는 긴 일정이 필요하다. 동쪽 출발점은 칸첸중가 북쪽 베이스캠프(Kanchenjunga North Base Camp)이고, 서쪽 도착점은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고 있는 카르날리존 훔라디스트릭트의 힐사(Hilsa)이다.
또 이 트랙(GHT Upper Trail Full Traverse 라고도 함)의 남쪽 지역을 연결시키는 『GHT Cultural Route』를 의미하는 소위 『Green Trail』도 같이 개발되었다(GHT Low Trail 이라고도 함). 예를 들어 칸첸중가 트랙의 출발점인 타플레중과 마카루 트랙의 출발점인 칸드바리를 연결한 트랙이 이에 속한다. 이 트랙은 해발 높이 2,000~3,000m 전후의 네팔 히말라야의 중 산간 지역을 통과하게 된다. 초기 에베레스트 진입로 이었던 지리~남체 트랙의 일부와 마카루 바룬지역의 살파라 트랙, 그리고 돌포의 카그마라 트랙도 이에 속한다. 이 『Green Trail』의 시점은 인도 시킴지역과 국경인 네팔동부 타플레중 디스트릭트의 치야반장(Chiya Bhanjyang, 3139m)이고 도착지는 인도 북부와 접경을 이루고 있는 네팔 극서부 지역의 다르출라 디스트릭트의 다르출라(Darchula)이다.
히말라야 횡단트레킹(GHT)의 역사
• 1981 에베레스트 초등정자인 에드먼드 힐러리 경의 아들인 피터 힐러리와 체왕 타쉬 그리고 그레메 딩글은 시킴에서카라코람까지
걸어서 답사하였다.
• 1981-82 휴 스위프트와 아린 브럼(Hugh Swift and Arlene Blum)은 부탄에서 인도의 라다크까지 9개월에 걸쳐 완벽하게 답사하
였다.
• 1983 영국의 리챠드 크레인과 에이드리안 크레인(Richard and Adrian Crane) 형제는 칸첸중가에서 난가파르밧 너머까지 100일
이내에 달리는데 성공하였다. 이 루트는 히말라야 산맥에서 네팔과 인도의 접경지대 사이를 가로 질러야 했다.
• 1990 소렐 윌비와 크리스 시안타(Sorrell Wilby and Chris Ciantar)는 카쉬미르에서 아루나찰 프라데쉬까지 횡단하였다.
• 1994 가을철 10월 21일부터 12월 1일까지, 프랑스인 달리기 선수인 폴 에릭 보네우와 브루노 푀러)(Paul-Eric Bonneau and Bru
no Poirier)는 길이 2,100km, 해발고도 5,500m가 넘는 평타하지 않은 네팔히말라야를 달렸다. 파슈파티나가르에서 마하칼리까지
동에서 서로 달렸으며, 그 기간 동안 서로 상반된 기후조건인 척박한 산악구간을 달렸다.
• 1997 알렉산더 포신과 실베인 테슨(Alexandre Poussin and Sylvain Tesson) 부탄에서 타지키스탄까지 6개월에 걸쳐 5,000km
를 도보로 횡단하였다.
• 2003 로지 스웨일포프(Rosie Swale-Pope)는 네팔 히말라야 구간과 중산간 지역을 서포트팀의 지원의 받으며 달렸다.
• 2007 질리안 홀스워스 박사(Dr Gillian Holdsworth)는 영국 네팔 의료기금 모집을 위하여 가이드 소남 세르파와 같이 네팔을 횡단
하였다.
• 2008-09 네팔의 GHT(Nepal's Great Himalaya Trail)루트는 라빈 부스테드( Robin Boustead)가 이끄는 팀에 의하여 사전 예비
조사에 5년이 소요되었고, 두 계절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여기에 소요된 총 일수는 162일이고 이에 대한 기록은 책으로 발간되었
다.
• 2010 기네스 세계기록 보유자인 션 부르취(Sean Burch)와 CNN은 GHT를 지구상에서 가장 극한적인 모험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GHT를 횡단한 공식적인 세계기록은 놀랄만하게도 49일 6시간 8분으로 기록되었다. 구간과 거리는 알 수 없으니 아마 GHT-Nepal
구간으로 추측된다.
• 2010 패스파인더즈(The Pathfinders)라고 불리는 그룹의 젊은 여행가인 디페쉬 조쉬, 수로스 당골, 라쥬 마하리안(Dipesh Joshi,
Surose Dangol, Raju Maharjan) 세 명은 네팔 히말라야의 GHT 구간을 쉬지 않고 한 번에 완료하였다.
• 2011 저스틴 리처와 손 포리(Justin Lichter and Shawn Forry)는 네팔 동쪽의 칸첸중가에서 인도 북부의 난가파르밧까지 “동쪽의
8000m에서 서쪽의 8000m까지“ 걸어서 시도한 저서를 발간하였다.
• 2011 순일 따망(Sunil Tamang)은 네팔 동쪽의 칸첸중가에서 서쪽의 라라호수까지 GHT-Nepal 구간을 20회 생일을 맞아 128일
만에 혼자서 횡단한 최연소자가 되었다.
• 2012 파리베시 프라단(Paribesh Pradhan)은 "The Great Himalaya Trail - My Climate Initiative" 프로젝트로 네팔의 동쪽 칸첸중
가에서 네팔의 서쪽 다르출라까지 98일에 횡단하였다.
히말라야 횡단트레캉(GHT)의 개발과 코스의 연결
2000년도 중반에 네팔 트레킹협회(TAAN, Trekking Agencies' Association of Nepal)와 네팔 관광청(NTB, Nepal Tourism Board)은 네팔의 3대 트레킹 코스인 안나푸르나, 랑탕, 쿰부지역과 칸첸중가, 마나슬루 등 인기 코스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탈피하고자, 새로운 지역을 개발하여 트레킹 지역을 좀 더 확대하는 방안으로 GHT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 네팔 히말라야의 등반 또는 트레킹을 수행하는 세계적인 모험관련 여행사가 "GHT Alliance" 협정하에 트레킹 코스 개발에 참여하고 상업적 트레킹팀을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GHT에서는 이 프로그램에 동참할 제휴회사를 모집중에 있으며 현재 23개 회사가 참여하고 있다. 세계에서 큰 모험여행회사에 속하는 World Expedition, Project Himalaya 또는 Pema Trek & Expedition 같은 트레킹회사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Trekking Program 중의 하나이다.
칸첸중가에서 마칼루 구간
World Expedition 또는 Project Himalaya와 같은 세계적인 모험여행 트레킹회사 몇몇은 2010년 이전부터 이미 자사 트레킹 상품에 GHT 계획을 포함시켰다. 예를 들어 칸첸중가 트랙에 낭고라를 넘는 Olangchung Gola Trek을 포함시켜 GHT 트랙의 동쪽 출발점의 한 부분을 완성시키고자 하였다. 한편 이 시기를 전후하여 칸첸중가 지역에서 마칼루 지역을 잇는 트랙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병행되었다. 2009년에 처음으로 칸첸중가 지역에서 낭고라를 넘어 올랑춘골라로 연결되는 트레킹 코스를 개발하였다. 다시 올랑춘골라 서쪽 계곡의 룸바삼바(Lumbha Sambha, 5159m) 고개를 넘어 창탕(Chyangtang, 2187m)을 지나 마칼루 베이스캠프로 직접 가는 트랙에 대하여 상업트레킹이 시행되기도 하였다.
마카루에서 쿰부 그리고 로왈링 구간
다음 단계는 마칼루, 쿰부(에베레스트), 로왈링 지역을 연결하는 비교적 잘 알려진 코스를 연결하는 구간이다. 먼저 마칼루 베이스캠프에서 이스트콜과 웨스트콜을 넘어 훈쿠계곡으로 내려간 다음 암푸랍차라을 넘어 쿰부의 추쿵과 연결하는 트랙인데, 이 트랙은 이제 더 이상 특별한 트랙이 아닌 일반적인 트랙이 되었다. 이 트랙은 3 Cols 또는 Sherpani Col로 불리기도 하는데, 실제 해발 6,100m가 넘는 East Col과 West Col을 넘는 것으로 모험을 즐기는 트레커에게는 매우 인기 있는 트랙이다. 다음 솔루쿰부 지역의 콩마라, 초라, 렌조라를 연결하는 3-패스 코스나, 이미 오래전부터 시행되고 있는 쿰부의 타메에서 태시랍차라를 넘어 로왈링 히말라야를 가로질러 카트만두로 연결되는 코스도 이제는 누구라도 갈 수 있는 트랙이다.
랑탕과 가네쉬 히말 그리고 마나슬루와 안나푸르나 구간
로왈링 구간의 종점과 랑탕구간의 시점은 티베트로 넘어가는 우정공로(Hwy)에 있는 라스트리조트이다. 따라서 랑탕지역은 이 곳에서 출발하여 주갈히말의 틸만패스를 넘어 컁진을 거쳐 사브루베시로 하산한다. 여기서 다시 가네쉬히말의 남쪽 기슭을 가로질러 마나슬루 트랙의 코롤라베시에 연결된다. 라르키아라를 넘어 다라파니에 도착하면 안나푸르나 서키트에 연결되고 토룽라를 넘어 상무스탕의 입구 카그베니에 도달한다. 이 구간 중 라스트리조트에서 틸만패스를 넘어 랑탕으로 가는 코스와 샤브루베시에서 마나슬루의 코롤라베시로 연결되는 가네쉬히말 코스는 비교적 발길이 뜸한 지역이다.
돌포의 북쪽 구간
카그베니에서 다울라기리 산군의 상부에 있는 상다라를 넘어 북쪽의 상돌포 지역의 살당(Saldang)이나 루리(Luri)까지 깊숙이 진입하여 얄라라를 넘어 무구지역을 통과하여 라라호수의 감가디까지 가는 북쪽 코스가 있다. 또는 상다라를 넘어 차르카보트에서 도타랍을 거쳐 누마라 바가라를 넘어 세이폭순도 호수까지 간다. 여기서 다시 북쪽으로 진로를 바꾸어 세이곰파를 지나 살당과 루리 부근의 포(Pho, 4087m)까지 진출한 다음 얄라라를 넘어 무구지역을 지나 라라호수의 감가디까지 간다. 이 지역과 무구, 훔라 지역은 몬순기인 여름철에도 비교적 강우량이 적은 편이어서 장기간 일정계획을 세울 경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구간이다.
돌포의 서쪽 구간
그러나 어떤 트레킹 회사는 상다라를 넘어 차르카보트에서 도타랍을 거쳐 누마라 바가라를 넘어 세이폭순도 호수까지 간다음 서쪽의 카그마라를 넘어 『Green Trail』과 합류하여 줌라까지 간다. 여기서 다시 라라의 감가디까지 진출하게된다. 참고로 여기서 상돌포의 세이폭순도호수와 줌라와 주팔을 지나는 하돌포 트랙은 별도의 Green Trail에 속한다.
무구와 훔라 구간
마지막으로 라라호수의 감가디에서 무구지역(Mugu Region)을 통과하면 시미코트에 도착되고, 여기서 카르날리강의 계곡을 따라 서쪽으로 진출하여 나라라(Nara La, 4620m)를 넘어 트베트 국경의 힐사(Hilsa, 3720m)까지 가게되면 네팔 히말라야의 GHT 트랙이 완성된다. 이 코스는 시미코트에서 나라라를 넘어 카일라스로 가는 성지순례코스로 유명하며 인도나 네팔의 힌두에게는 인기있는 트레킹 상품이다.
GHT-Nepal 트레킹을 주도하는 대표 여행사 - GHT Trekking Companies
- Adventure Connexion
- Adventure Karnali
- Adventure Mountain Club Treks
- Astounding Himalayas
- Beauty Nepal Adventure
- Beyond the Limits Treks and Expedition P.ltd
- Eco Holiday Asia Pvt Ltd
- Funny Nepal Treks and Expeditions
- Hauser Exkursionen
- Himalaya Alpine Guides
- Himalayan Leaders
- Kamzang Treks & Expeditions
- Karnali Excursions
- Keys to Bhutan
- Lost Earth Adventures
- Mountain Adventures
- Nature Adventure Trekking
- Off the Wall Trekking
- Pema Trek & Expedition
- Project Himalaya
- Sherpa Tours (Aust) Pty Ltd
- Snowman Adventures
- Social Tours
- The Mountain Company
- Tibet Holidays
- Wild Stone Adventure
- World Expeditions
- Xplore the Himalaya
GHT의 구성
이미 언급한바와 같이 네팔 히말라야의 GHT 총구간은 약 1,700km에 달하는데, 이 지역을 지나면서 수많은 고개와 강을 건너게 되고 5,000m 전후의 대표적인 고개 만해도 약 30 개에 달하고 해발고도 6,000m가 넘는 고개도 있다. 이런 트랙은 전부 새로운 트랙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고 기존의 트랙들을 서로 연결시켜 만들었다. 다시 말하면 칸첸중가, 마카루, 쿰부, 로왈링, 랑탕, 가네쉬, 마나슬루, 안나푸르나, 무스탕, 돌포, 무구, 힐사 지역과 같은 기존의 트랙을 서로 연결시켜 만들었다.
GHT를 크게 구분하면 3개의 Section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Section 1은 동부 네팔 칸첸중가로 부터 마카루를 지나 쿰부(에베레스트)의 타메(Thame)까지이고 약 55일이 소요된다. Section 2는 타메에서 태시랍차라를 넘어 로왈링 히말을 거쳐 중부 네팔의 랑탕과 가네쉬 히말을 지난다. 다시 서부 네팔의 마나슬루의 라르키아라와 안나푸르나의 토룽라를 넘어 카그베니에 이르고 약 53일이 소요된다. Section 3은 무스탕의 일부와 돌포지역(Dolpo)을 지나 라라호수까지 진출한 다음 무구(Mugu)지역을 거쳐 시미코트(Simikot)에서 티베트 국경지대인 힐사(Hilsa)까지 가면 GHT의 모든 일정이 마무리 된다.
GHT의 3개의 구간(Section) 분류(Full Traverse의 경우)
Section 1 : 동부네팔 Kanchenjunga/Makalu/Kumbu를 포함하고, 약 55일 소요
Section 2 : 중부네팔 Rolwaling/langtang/GaneshManaslu/Annapurna를 포함하고, 약 53일 소요
Section 3 : 서부네팔 Dolpo/Rara/Mugu/Humla를 포함하고, 약 44일 소요된다.
여기에 세부적으로 연결시키는 독자적인 트랙이 새로 개발되어 GHT 트랙이 완성되는데, 이 트랙을 한 번에 수행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과 경비가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7 단계(Stage)로 나누어 수행하기도 하는데 약 159일이 소요된다. 그러나 이 일정에는 칸첸중가와 마카루, 로왈링과 랑탕의 연결구간이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결구간의 일정을 포함하면 약 200일 정도가 소요된다.
GHT의 7 단계(Stage) 분류
Stage 1 : Kanchenjuga, 22일(연결구간 제외)
Stage 2 : Makalu & Everest Traverse, 31일
Stage 3 : Everest & Rolwaling Traverse, 21일
Stage 4 : Langtang & Ganesh, 15일(연결구간 제외)
Stage 5 : Manaslu & Annapurna, 23일
Stage 6 : Upper Dolpo Traverse, 22일
Stage 7 : Rara Lake & Yari Valley/Hilsa, 25일
(참고 : 일정은 카트만두 출방에서 카트만두 도착까지이고 연결구간은 제외)
그러나 이런 분류는 트레킹 수행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트레커의 상황에 적합한 일정을 계획하야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인 정도로 구성된 소규모 팀은 전 구간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지만, 많은 인원으로 구성된 팀은 전 구간을 한번에 수행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런 경우에 어떻게 구간을 나눌것인가 ?
GHT 단계별(Stage) 구간의 연결
각 단계(Stage)별로 나누어 트레킹을 한다면 어떤 구간들은 서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1 구간인 칸첸중가와 2 구간인 마칼루 트랙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칸첸중가 트랙에서 GHT의 Olangchun Gola에서 마칼루 트랙의 Yangla Kharka까지를 연결하는 별도의 새로운 트랙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칸첸중가 지역의 Olangchun Gola와 마카루 지역의 Yangla Kharka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16일 정도의 추가적인 일정이 필요하다.
또 로왈링 지역과 랑탕 지역을 연결하는데 6일, 랑탕 지역과 마나슬루 지역을 연결하는 가네쉬히말을 통과하는데 9일이 소요 된다 . 따라서 이런 연결되는 구간의 일정을 모두 합하면 31일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이 일정에 카트만두에서의 출발과 도착 일정을 합하면 약 40일 정도가 더 필요하다.
한편 마칼루와 에베레스트 트랙은 별도의 새로운 코스의 개발이 없어도 바로 연결이 된다. 예를 들어 마칼루 베이스캠프에서 이스트콜과 웨스트콜을 넘어 훈쿠계곡으로 들어간 다음 암푸랍차라를 넘으면 쿰부의 추쿵으로 연결된다. 이 코스는 이미 거의 모든 트레킹회사에서 취급하는 상품으로서 더 이상 새로운 코스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7 개의 구간을 서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일정은 약 40일 정도이고, 여기에 각 구간별 일정의 합계 159일 합하면 200일 이상이 된다. 결론적으로 GHT를 한 번에 시행한다면 152일 정도가 소요되지만 구간별로 나누어 시행하면 200일 정도가 걸린다는 의미이다. 또 여기에 국내와 네팔 이동에 필요한 일정을 포함하면 총 220일 이상이 소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코스와 일정은 트레커와 크레킹 회사의 취향과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 GHT 구간별 시종점 및 고개 >>
구 간 |
시 종 점 |
고 개 |
비 고 |
칸첸중가 |
칸첸중가 노스 BC 양라카르카(마칼루지역)) |
낭고라 4776m 룸바삼바 5159m |
|
마칼루 |
양라카르카(마칼루트랙) 추쿵(에베레스트지역) |
이스트콜 6100m 웨스트콜 6143m 암푸랍차라 5845m |
|
쿰부 |
추쿵(에베레스트지역) 타메(에베레스트지역) |
콩마라 5545m 초라 5420m 렌조라 5360m |
|
로왈링 |
타메(에베레스트지역) 라스트리조트 |
타시랍차라 5755m 팅상라 3319m |
|
주갈/랑탕/가네쉬 |
라스트리조트 코롤라베시(마나슬루지역) |
틸만패스 5308m 팡상라 3830m |
|
마나슬루 |
코롤라베시(마나슬루지역) 다라파니(안나푸르나지역) |
라르키아라 5160m |
|
안나푸르나 |
다라파니(안나푸르나지역) 카그베니(안나푸르나지역) |
토룽라 5316m |
|
돌포 |
카그베니(안나푸르나지역) 감가디(라라호수) |
(북쪽 코스 : 상돌포) 상다라 5550m 차르카라 5030m 무리라 5010m 키아라 5124m 넹글라라 5368m 닝마갈첸라 5563m 얄라라 5414m 차르골라 반장 5150m (세이폭순도 코스) 찬라 5378m 누마라라 5309m 바가라라 5169m 낭다로라(캉라) 5310m (남쪽 코스 : 하돌포) 카그마라라 5150m |
|
무구 |
감가디(라라호수) 시미코트 |
|
|
훔라 |
시미코트 힐사 |
나라라 4560 니아루라 5001 |
|
기타 참고자료 (Trekking Permits)
Trekking permits or special area permits are required for much of the Himalaya. Rules and fees change regularly so it is important you check with the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 and an authorised trekking company that you have current information. A summary of each country is given here along with the associated websites.
Nepal Trekking Permits
In addition to any National Park and Conservation Area entry permits you will also require a trekking permit for many areas of Nepal. The Department of Immigration located at IMPACT Building, Maitighar, Kathmandu (Tel 4223590) issues permit for tourists. Web – http://www.immi.gov.np See also, the Trekking Agents Association of Nepal (TAAN) - http://www.taan.org.np/
Nepal Trekking Permits, National Park Entry Fees and Tourist Area Entry Fees as at SEP 2012
1. Dolpa district) Areas of lower Dolpa: Per week per person US$10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b) Areas of Upper Dolpa: For the first 10 days per person US$500 and after 10 days per day per person US$50
2. Taplejung District / Kanchenjunga Region Per week per person US$10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Includes areas of Olangchunggola, Lelep, Papung and Yamphudin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3. Mustang district Upper Mustang for the first 10 days per person US$500 and after 10 days per day per person US$50.
4. Gorkha District / Manaslu Autumn Season per week per person US$70 and after 7 days per day per person US$10 and from December to August per week per person US$50 and after 7 days per day per person US$7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Chhekampar &Chumchet VDC (Sirdibas-Lokpa-Cumling-Chhekampar-Nile-Chhule Area) from September to November per person US$35 for first 8 days and from December to August per person US$25 for first 8 days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5. Dolakha District / Gauri Shankar &Lamabagar
Per week per person US$10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6. Humla District (Simikot and Yari)
For the first 7 days per person US$50 and after 7 days per day per person US$7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Areas of Limi and Muchu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and area to Tibet via Tangekhola of Darma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for the first 7 days per person US$50 and after 7 days per day per person US$7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7. Rasuwa District
Thuman (Thungmen) and Timure, per week per person US$10,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8. Sankhuwasava District / Makalu Region Areas of Kimathanka, Chepuwa, Hatiya and Pawakhola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for the first 4 weeks per week per person US$10/week and after 4 weeks per week per person US$20,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9. Solu-Khumbu DistrictF or the first 4 weeks per week per person US$10 and After 4 weeks per week per person US$20,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10. Manang District
Areas of Naar, Phu, and Northern area of Tilche Village of Thochhe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from September to November per week per person US$90 and December to August per week per person US$75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11. Mugu District
Areas of Mugu, Dolpu, Pulu and Bhangri, for the first 7 days per person US $90 and after 7 days per day per person Us$15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12. Bajhang District
Areas of Kanda, Saipal, Dhuli, for the first 7 days per person US$90 and after 7 days per day per person US$15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13. Darchula District
Areas of Byas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for the first 7 days per person US$90 and after 7 days per day per person Us$15 or equivalent convertible foreign currency.
National Parks and Conservation Areas
Makalu-Barun, Sagarmatha, Langtang, Rara, Shey Phoksundo and Khaptad from Rs 3,000 per person. Foreign tourists to Bardia National Park, Parsa Wildlife Reserve and Koshi Toppi Wildlife Reserve 1,000 per person for two days. The government has also raised entry fee for Nepalis in Chitwan National Park Rs 1,500 per person/2d respectively. Annapurna Conservation Area Permit / Manaslu Conservation Area Permit / Kanchanjanga National Park / Gaurishankar Conservation Area / Api Nappa National Park are all RS 2000/per personDhorpatan RS1500/pShivapuri &Nagarjun National Park Rs. 250/d pp
Sightseeing fees (Kathmandu Valley)
Bauddhanath Stupa - Rs. 150/p
ShyambhuNath – Rs. 200/p
Chhauni Museum Rs 200/p
Narayanhiti Museum Rs. 500/p
Pashupatinath – Rs. 500/p
Khokana- Rs. 25/p
Kathmandu Durbar square Rs. 750/p
Patan Durbar square Rs. 500/p
Patam Museum Rs. 200/p
Golden temple Patan Rs. 50/p
Bhaktapur Durbarsquare USD 15/p or rs. 1100/p
Bhaktapur Meseum Rs. 100/p
Changunarayan Rs. 100/p
Sanga Shiva Statue Rs. 100/p
Pokhara Mountain Museum Rs. 350/p
David’s Fall => Rs50/p
Chamere Gupha => Rs50/p
Mahendra pul => Rs50/p
Gupteshwar Mahadev Rs. 100/p
Bhutan Trekking Permits
Trekking in Bhutan is only allowed along permitted routes. You must organize your tour through a travel agent in Bhutan and they will organise your visa and permits. Rather than a per-trail or region amount the government charges a daily fee per tourist – US$65 in high season and US$55 in low season.
India Trekking Permits
More a secret society than an open and transparent system, getting current information about trekking regions that are open or closed in India is not easy. It is recommended you make all arrangements through a reputable company in Delhi as this is where most permits are processed and issued. However, some permits (even Inner Line permit) are issued locally, and of course, once you have all your paperwork the army can override any decision and refuse you access just because they happen to think it wise at the time. Aside from National Park entry permits, you will also require:
Eastern States
Arunachal Pradesh - Inner Line permit required and can be issued in Itinagar or Delhi through an authorised agent.Sikkim - a permit is required to enter Sikkim (15 days and can be extended up to 45 days). Additional permit required Green Lake (through an authorised agent).
Northwestern States
Uttarakhand - Permits are required for treks above Gangotri (to the Ganges source), anywhere around nanda Devi Sanctuary (Kuari Pass, Rup Kund, Milam and Nanda Devi East base camp).Himachal Pradesh - Kinnaur Kailash Circuit (including Charang La) and Inner Line permit for any routes between Spiti and Kinnaur.Ladakh - specific travel permits required for outlying areas, check in Leh for details.Jammu &Kashmir - this State is often closed. It is wise to check in Delhi if you can visit and if there are any restrictions in place.

저는 네팔에 살고있는 이구입니다. 한국은 무지 덥다하는데 잘계시죠.
명성만듣고잇어는데 이제 블럭,에 오니 멋진 자료가 있어 열심이 보고잇습니다
나도 이코스를 한번 해볼려고 자료를 모으고 잇는데 마침 여기서 잘 정리된 일정을 보니 무지 반갑습니다.
언제 한번뵙고 이야기를 나누고싶네요 올해 네팔에 오실기회가 있으시면 꼭 연락주세요..', 'true', 'cmt'); return false;" href="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4BZc&articleno=15628913&categoryId=696104®dt=20130215152135&totalcnt=35#">신고
저는 네팔에 살고있는 이구입니다. 한국은 무지 덥다하는데 잘계시죠.
명성만듣고잇어는데 이제 블럭,에 오니 멋진 자료가 있어 열심이 보고잇습니다
나도 이코스를 한번 해볼려고 자료를 모으고 잇는데 마침 여기서 잘 정리된 일정을 보니 무지 반갑습니다.
언제 한번뵙고 이야기를 나누고싶네요 올해 네팔에 오실기회가 있으시면 꼭 연락주세요..
- ┗
- 김영한
- 2013.08.16 16:44
작년 말에 네팔에 갈 계획이 있었지만 개인적인 사정(직장문제) 때문에 미루게 되었네요. 네팔히말라야횡단트레킹(GHT-Nepal)은 개인적으로 2011년부터 준비해 왔지만 지금도 시작을 못하고 있네요. 아직 때가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수집한 정보, 사진은 물론이고 특히 직접 그린 개요도, 그리고 표준적인 일정을 공개하여 횡단트레킹을 계획하는 트레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 것입니다.
이구대장님도 지역별로 부분적으로 간헐적으로 수행되는 트레킹을 GHT와 연관하여 계획하면 좋은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언젠가 빠른 시일 안에 연락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 'true', 'cmt'); return false;" href="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4BZc&articleno=15628913&categoryId=696104®dt=20130215152135&totalcnt=35#">신고
작년 말에 네팔에 갈 계획이 있었지만 개인적인 사정(직장문제) 때문에 미루게 되었네요. 네팔히말라야횡단트레킹(GHT-Nepal)은 개인적으로 2011년부터 준비해 왔지만 지금도 시작을 못하고 있네요. 아직 때가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수집한 정보, 사진은 물론이고 특히 직접 그린 개요도, 그리고 표준적인 일정을 공개하여 횡단트레킹을 계획하는 트레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 것입니다.
이구대장님도 지역별로 부분적으로 간헐적으로 수행되는 트레킹을 GHT와 연관하여 계획하면 좋은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언젠가 빠른 시일 안에 연락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출처 : 김영한 2013.02.15 15:21 http://blog.daum.net/alpinet/15628913
'GHT-김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마라야 횡단트레킹 2단계(GHT-Nepal Stage 2) 사진자료 : 마카루BC/이스트,웨스트콜/암푸랍차라/쿰부(추쿵) 구간 (0) | 2015.08.28 |
---|---|
히말라야 횡단트레킹 2단계(GHT-Nepal Stage 2) 트레킹일정 : 마카루BC/East Col, West Col/암푸랍차라/쿰부(추쿵) 구간 (0) | 2015.08.28 |
히말라야 횡단트레킹 1단계(GHT-Nepal Stage 1) 사진자료 : 칸첸중가~마카루 (0) | 2015.08.28 |
히말라야 횡단트레킹 1단계(GHT-Nepal Stage 1) 트레킹일정 : 칸첸중가~마카루 구간 (0) | 2015.08.28 |
히말라야 횡단트레킹(GHT-Nepal) : 지도 및 Stage별 일정 개요 (0) | 2015.08.28 |